728x90
반응형
github를 clone 해서 로컬에서 작업할 때만 사용했지 협업할 일은 따로 없어서 제대로 공부해 본 적이 없었다.
이번 기회에 로컬 저장소와 원격 저장소를 연결하고, 첫 커밋하는 명령어를 정리해보고자 한다.
1. 로컬 저장소 초기화
프로젝트 폴더에서 Git 저장소를 초기화한다.
git init
2. 원격 저장소 추가
GitHub에서 새 저장소를 생성한 후, 해당 저장소 URL을 복사한다. 그리고 아래 명령어로 원격 저장소를 origin으로 추가한다.
git remote add origin https://github.com/~~
3. 변경 사항 확인 및 파일 추가
파일이 추가되거나 변경되었는지 확인한 후, 모든 파일을 커밋 대상으로 추가한다.
git status
git add .
4. 첫 커밋 만들기
모든 파일을 추가한 뒤, 첫 번째 커밋을 생성한다.
git commit -m "Initial commit"
5. 로컬 브랜치를 원격 저장소의 main 브랜치로 푸시하기
로컬의 기본 브랜치가 master인 경우, 이를 원격 저장소의 main 브랜치로 push한다.
git push -u origin master:main
혹은 로컬 브랜치를 main으로 이름을 바꾸고, 동일하게 main으로 푸시할 수도 있다.
git branch -M main
git push -u origin main
6. 추후 커밋 및 푸시 과정
변경 사항이 생길 때마다 다음 순서로 파일을 GitHub에 반영한다.
파일 변경 사항 확인
git status
파일 추가
git add .
커밋 생성
git commit -m "설명 메시지"
변경 사항 푸시
git push origin main
728x90
반응형
LIST
'Setting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4 구글 코랩 런타임 끊김 방지 코드 (+중단 코드) (1) | 2024.10.28 |
---|---|
Colab Pro 컴퓨팅 단위 사용량 확인하기 (1) | 2024.10.21 |
아이폰에서 Window PC로 사진 옮기기(아이폰 Window 연결 오류 해결) (2) | 2024.07.31 |
[VMware] 우분투 가상환경에서 용량 늘리기 (0) | 2024.01.10 |
Teamviewer 사용해서 데스크톱에 원격 접속하기(노트북, 스마트폰에서 다 가능) (0) | 2023.09.0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