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SMALL
[오류 해결] AttributeError: np.PINF was removed in the NumPy 2.0 release. Use np.inf instead.
·
Error
발생한 오류NumPy 버전 2.0에서 np.PINF가 제거되었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이다. AttributeError: np.PINF was removed in the NumPy 2.0 release. Use np.inf instead. 해결 방법np.PINF가 사용된 코드를 찾아서 np.inf로 바꾸면 된다!기존 코드import numpy as npx = np.PINF수정된 코드import numpy as npx = np.inf  Referencehttps://github.com/blue-yonder/tsfresh/issues/1088
[오류 해결] ImportError: DLL load failed while importing cymj: The specified module could not be found
·
Error
발생한 오류Python 패키지 cymj를 로드하려 할 때 발생하는 문제로, 강화학습 훈련 시 MuJoCo 환경을 사용하려고 할 때 발생하였다. ImportError: DLL load failed while importing cymj: The specified module could not be found 해결 방법다음 명령문을 mujoco import 하는 부분 앞에 작성 해주면 된다!본인은 mujoco210 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다음 명령문을 사용하였지만, 사용하는 mujoco 버전과 경로에 맞게 설정해 주면 된다. os.add_dll_directory("....... //.mujoco//mujoco210//bin")  Referencehttps://github.com/openai/mujoco-py/i..
[오류 해결] ImportError: cannot import name 'PILLOW_VERSION' from 'PIL' (unknown location)
·
Error
발생한 오류PILLOW_VERSION이 더 이상 최신 버전의 Pillow 라이브러리에서 지원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입니다.Pillow는 Python에서 이미지 작업을 위한 라이브러리인데, 버전 7.0.0 이후로 PILLOW_VERSION 속성을 제거하였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. ImportError: cannot import name 'PILLOW_VERSION' from 'PIL' (unknown location) 해결 방법pillow 버전을 낮춰주면 된다!conda install pillow=6.1  Referencehttps://github.com/python-pillow/Pillow/issues/4130
[VMware] No 3D support is available from the host 오류 해결
·
Error
오류VMware를 종료하고 다시 실행하려는데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나면서 실행이 되지 않았다.  해결 방법해결 방법은 간단하다. 실행하고자 하는 실행파일 폴더에 들어가서 VMware virtual machine configuration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어준다. 본인의 경우는 C:\Users\user\Documents\Virtual Machines\Ubuntu 64-bit-24.04 경로에 파일이 존재하였다.    다음과 같이 msk.enable3d = "TRUE" 를 "FALSE"로 변경해 주면 된다.  다시 실행해보면 다시 제대로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   Referencehttps://sf-jam.tistory.com/149
[Docker 오류 해결] subprocess.CalledProcessError: Command '('lsb_release', '-a')' returned non-zero exit status 1.
·
Error
발생한 오류도커 파일을 통해서 도커 이미지를 빌드할 때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하였다. subprocess.CalledProcessError: Command '('lsb_release', '-a')' returned non-zero exit status 1. ERROR 표시 옆에 실행 오류가 뜨는 코드가 명시되어 있었지만 로그를 봤을 때 공통적으로 "subprocess.CalledProcessError: Command '('lsb_release', '-a')' returned non-zero exit status 1." 라고 적혀있었다. 이 오류는 여전히 lsb_release 명령과 관련된 문제가 있음을 나타내며, pip가 시스템 정보를 얻으려고 할 때 lsb_release 명령을 사용하려고 하지만 실패..
[Docker 오류 해결] GPG error: https://developer.download.nvidia.com/compute/cuda/repos/ubuntu1804/x86_64 InRelease: The following signatures couldn't be verified because the public key is not available: NO_PUBKEY A4B469963BF863CC
·
Error
발생한 오류도커 파일을 통해서 도커 이미지를 빌드할 때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하였다. 7.869 W: GPG error: https://developer.download.nvidia.com/compute/cuda/repos/ubuntu1804/x86_64 InRelease: The following signatures couldn't be verified because the public key is not available: NO_PUBKEY A4B469963BF863CC7.869 E: The repository 'https://developer.download.nvidia.com/compute/cuda/repos/ubuntu1804/x86_64 InRelease' is no longer sign..
[오류 해결] ImportError: urllib3 v2.0 only supports OpenSSL 1.1.1+, currently the 'ssl' module is compiled with 'OpenSSL 1.1.0h 27 Mar 2018'.
·
Error
발생한 오류크롤링 코드를 수정하다가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하였다.(크롤링 코드: https://github.com/ksy5098/selenium-google-images-crawler)(크롤링 설명: https://seoy00.tistory.com/48)ImportError: urllib3 v2.0 only supports OpenSSL 1.1.1+, currently the 'ssl' module is compiled with 'OpenSSL 1.1.0h 27 Mar 2018'. See: https://github.com/urllib3/urllib3/issues/2168 urllib3의 버전 2.0은 OpenSSL 버전 1.1.1 이상만 지원한다는 내용으로 두 가지 해결 방법이 있다.  OpenSS..
[오류 해결] ufw: command not found error - ubuntu
·
Error
발생한 오류우분투 환경에서 포트를 열어주려고 할 때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하였다. ufw: command not found (원래는 tensorboard 접속이 안 되어서 해결하려고 시도 중에 발생한 오류이다. 결국 다른 방법으로 해결하긴 했다.https://seoy00.tistory.com/42) [Docker] Docker 내부에서 tensorboard 사용 방법 (오류 해결)TensorBoard는 TensorFlow의 모델을 시각화하고 디버깅하기 위한 도구이다. 이를 통해 모델의 학습 과정과 성능을 쉽게 모니터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.  이번에 tensorboard를 처음 사용해보는데 dockseoy00.tistory.com 해결 방법ufw을 설치하면 된다!apt install ufw 본인의 ..
728x90
반응형
LIST
성장중 •͈ᴗ•͈