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SMALL
loss 값이 nan이 되는 이유 및 오류 해결(feat. StyleGAN)
·
ML & DL/GAN
StyleGAN을 학습하던 중 다음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. Epoch 1/250, Iter 400, Gen Loss: nan, Disc Loss: nan학습과 함께 출력하는 사진도 오류 없이 나오고 있어서 오류가 발생하지 않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loss값이 nan이 나오고 있었던 것이다. 한 번도 이랬던 적이 없어서 찾아보았는데 이유가 여러 가지가 있었다. 오류 원인(추정)학습률(Learning Rate)이 너무 큼: 학습률이 너무 큰 경우, 모델의 가중치가 너무 빠르게 업데이트되어 숫자가 발산하거나, 손실 함수 계산 중에 NaN 값이 나올 수 있음입력 데이터에 NaN 또는 Inf 값이 포함됨: 학습 데이터에 잘못된 값(NaN, Inf)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, 손실 함수 계산 중에 문제가 발생..
Colab Pro 컴퓨팅 단위 사용량 확인하기
·
Settings
코랩 프로를 사용하다 보면 컴퓨팅 단위마다 결제를 하게 되어있다. 컴퓨팅 단위라는 말이 살짝 애매해서 사용하다가 언제 끊길지 모르는 불안감이 있을 수 있는데구글 코랩에서는 컴퓨팅 단위 사용량과 현재 얼마나 사용 중인지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.  Colab Pro 컴퓨팅 단위 사용량 확인하기컴퓨팅 단위 사용량은 리소스 창에서 확인이 가능하다.코랩화면 우측 상단 RAM, 디스크 사용량을 작은 화면으로 확인할 수 있는데 그 그래프를 눌러주면 아래와 같이 리소스 화면이 뜬다. 리소스 탭에서는 구독하고 있는 버전, 사용 가능한 컴퓨팅 단위, 사용률 등을 확인할 수 있다.  혹은 이 메뉴바에서 리소스 보기를 선택해도 같은 리소스탭이 나와서 확인할 수 있다.
[오류 해결] AttributeError: 'Tensor' object has no attribute 'Item'
·
Error
발생한 오류PyTorch에서 텐서(Tensor) 객체가 잘못된 속성/ 함수를 참조할 때 발생하는 오류이다.AttributeError: 'Tensor' object has no attribute 'Item' 해결 방법Item이라는 속성은 존재하지 않으며, 대신 item() 함수를 사용하면 된다.   기존 코드loss = torch.tensor(2.0)print(loss.Item()) # 잘못된 함수 이름수정 코드loss = torch.tensor(2.0)print(loss.item()) # 올바른 함수 이름
[오류 해결] AttributeError: 'Autoencoder' object has no attribute 'Parameters'
·
Error
발생한 오류다음 오류는 Parameters라는 속성 또는 메서드가 존재하지 않을 때 발생하는 오류로 나는 Autoencoder 코드를 돌리다가 발견하였다. AttributeError: 'Autoencoder' object has no attribute 'Parameters' 해결 방법PyTorch 모델 클래스의 경우, 모델의 학습 가능한 파라미터를 접근할 때는 model.Parameters 대신 model.parameters()를 사용해야 한다.따라서, 기존 코드를 다음 코드로 수정해주면 된다.  기존 코드optimizer = torch.optim.Adam(Autoencoder.Parameters(), lr=0.001) 수정 코드optimizer = torch.optim.Adam(Autoencoder.p..
Ubuntu 22.04 부팅 오류 해결(Failed to start CUPS Scheduler)
·
Settings/Ubuntu
발생한 오류우분투를 껐다 키는데 다음 오류 메시지가 출력되면서 제대로 부팅되지 않는 오류가 발생하였다. CUPS (Common UNIX Printing System)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시작되지 못했을 때 발생하는 오류라고 한다. Failed to start CUPS Scheduler 해결 방법터미널 실행Ctrl + Alt + F2를 눌러 터미널 콘솔로 진입한다.   CUPS 서비스 비활성화 sudo systemctl stop cupssudo systemctl disable cups Ubuntu 재부팅CUPS를 비활성화하고 재부팅을 실행하면 제대로 부팅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 sudo reboot  손상된 패키지 복구 및 시스템 업데이트다음 명령어를 통해서 손상된 CUPS 패키지를 복구할 수 있다. ..
[오류 해결] ModuleNotFoundError: No module named 'torch'
·
Error
발생한 오류torch(PyTorch)가 설치되지 않았을 때 발생하는 오류이다. ModuleNotFoundError: No module named 'torch' 해결 방법다음 명령어를 사용하여 PyTorch를 설치해 주면 된다. conda install pytorch torchvision torchaudio -c pytorch  CUDA 지원을 위해 GPU 버전 설치를 하고 싶으시다면 아래 글을 참고 바랍니다. Window에서 PyTorch 설치 및 GPU 사용 — still_growing (tistory.com) Window에서 PyTorch 설치 및 GPU 사용가상환경에 PyTorch 설치가상환경 만들기(생략가능)💡가상환경을 만드는 이유가상환경을 만들면 가상환경마다 독립적인 환경을 만들어 작업을 진행..
Ubuntu 22.04에서 GRUB (복구 모드,싱글 모드) 진입 방법
·
Settings/Ubuntu
GRUB (복구 모드,싱글 모드) 진입 방법우분투 서버를 종료하고 다시 부팅을 시키는 과정에서 부팅이 시작되면 shift 키를 빠르게 연타해서 GRUB 메뉴에 들어갈 수 있다.인식이 제대로 안 되었거나 타이밍이 안 맞아서 shift 키를 눌러도 진입이 안 되는 경우가 있으니 안 되면 다시 시도해보길 바란다.  제대로 진입했다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온다. 여기서 e를 누른다.  그러면 이렇게 커맨드를 수정할 수 있는 화면이 나온다. 여기서 빨간 박스로 표시된 부분(ro를 포함한 뒷 부분)을 rw init=/bin/bash 로 수정한다.변경하고 나서는 ctrl-x를 눌러 다시 부팅한다.  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면 우분투에서 제대로 복구 모드(싱글 모드)에 진입한 것이다.
[오류 해결] libstdc++.so.6: cannot open shared object file: No such file or directory
·
Error
발생한 오류libstdc++.so.6 파일을 찾을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며, 주로 C++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필요한 C++ 표준 라이브러리 파일이 시스템에 없거나 설치 경로에 없을 때 발생한다. 본인의 경우에는 우분투 환경에서 어떤 패키지나 라이브러리를 설치하려고 해도 아래 오류가 계속 출력되는 현상이 발생하였었다. Libstdc++.so.6: cannot open shared object file: No such file or directory (미)해결 방법1스택오버플로우에서 좋아요를 많이 받은 방법이다. 많은 사람들이 아래 명령어로 해결을 한 것 같은데 본인의 경우에는 lib32stdc++6 설치를 진행할 때에도 오류가 계속 출력되어 결국 다른 방법으로 해결하였다. apt-get install l..
728x90
반응형
LIST
성장중 •͈ᴗ•͈